안녕하세요! 이번 주도 잘 지내시고 계신가요? 😊
얼마 전 엔비디아 GTC가 진행되었죠. 이번 주는 젠슨황 회장의 키노트 중에 데이터센터 중심으로 핵심만 간략하게 준비했습니다. IT 최신 뉴스도 놓치지 마세요. |
|
|
Alphabet, Wiz 인수Alphabet(구글 모회사)은 클라우드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사이버 보안 스타트업 Wiz를 320억 달러에 인수할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Alphabet의 최대 규모 인수로 기록될 전망입니다.
Meta의 AI 칩 개발Meta는 AI 시스템을 위한 첫 번째 자체 칩을 테스트 중입니다. 이는 외부 공급자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Meta의 계획의 일환입니다.
FBI의 랜섬웨어 경고 FBI는 Gmail 및 Outlook 사용자에게 랜섬웨어 공격에 주의할 것을 경고했습니다. Medusa 랜섬웨어는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유출 위협을 통해 이중 갈취(double extortion)를 시도합니다. 다중 인증(MFA)과 의심스러운 링크 회피가 예방책으로 권장됩니다.
AI와 저작권 논쟁할리우드의 400여 명의 유명 인물들이 AI 기업의 저작권 보호 완화를 반대하는 공개 서한을 발표했습니다. 이는 AI가 창작 산업에 미칠 영향을 우려한 것입니다. |
|
|
NVIDIA GTC Keynote 요약
최근 열린 엔비디아 GTC 2025 키노트에서 CEO 젠슨 황이 발표한 엄청난 내용을 데이터센터 중심으로 핵심만 전해드릴게요. 기술의 발전이 정말 믿기 어려울 정도라, 들을수록 깜짝 놀라게 되는 발표였어요!
엔비디아의 초고속 AI, 놀라운 로드맵 공개!
|
|
|
먼저 새 GPU '블랙웰 울트라 NVL72'가 공개됐어요. 이전 대비 성능이 무려 1.5배나 높아졌고, 올해 하반기부터 공급이 시작된대요. |
|
|
그런데 2026년엔 ARM 기반 CPU에 GPU 두 개를 탑재한 '베라 루빈 NVL144'가 나옵니다. 이 제품은 블랙웰보다 성능이 3.3배나 뛰어난다고 하니 정말 믿기 어렵죠? |
|
|
여기서 더 놀라운 점은, 2027년에 GPU를 무려 576개나 하나로 묶은 '루빈 울트라 NVL576'을 선보인다는 거예요. 현재 슈퍼컴퓨터 전체를 합친 성능이 이 작은 클러스터 하나에 들어간다니, 정말 영화에서나 보던 기술이네요! |
|
|
젠슨황 회장이 사진에서 들고있는 건 광 트랜시버 모듈입니다. 하나당 30W의 전력을 소비하며, GPU당 6개로 180W 쓰게되고 이는 추가적인 5,000달러의 비용이 발생한다는 거죠.
여기서 엔비디아는 TSMC와 협업하여 포토닉스 CPO 기술을 개발하여, 전기 신호와 광신호의 변환을 단일 패키지에서 해결하고, 이를 통해 전력 소비와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겁니다.
이렇게 해서 576개의 그래픽 카드를 연결하여 하나처럼 동작하게 만들 수 있었군요. 정말 놀라운 기술 발전이에요!
새로운 아키텍처 '파인만(Feynman)' 발표! |
|
|
엔비디아는 2028년 출시 목표로 새로운 아키텍처 '파인만'을 공개했어요. 저명한 물리학자 리처드 파인만의 이름을 따서 만든 아키텍처인데, 그만큼 엄청난 혁신과 성능 향상이 예상된다고 합니다!
성능은 폭발적으로 증가, 비용은 오히려 내려간다? |
|
|
엔비디아는 이번 로드맵을 통해 AI 성능을 기존 '호퍼(Hopper)' 시리즈와 비교해 '블랙웰(Blackwell)' 시리즈가 약 68배 향상되었고, '루빈(Rubin)' 시리즈는 무려 900배나 성능이 증가했다고 밝혔어요. 엄청난 발전이죠!
더욱 놀라운 건 비용이에요. 총 소유 비용(TCO) 대비 성능을 비교하면 '호퍼'를 1이라고 했을 때 '블랙웰'이 0.13으로 약 87% 절감, '루빈'은 0.03으로 무려 97%나 절감했다고 합니다. 가성비가 폭발적으로 좋아진 거죠!
서버 제조사 및 클라우드 업체들과의 강력한 협력 |
|
|
엔비디아는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HPE 등 주요 클라우드 및 서버 제조사들과 적극 협력하고 있다고 밝혔어요. 실제로 이 협력 덕분에 올해부터 내년까지 무려 수백만 개의 엔비디아 GPU가 공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정말 엄청난 규모죠?
AI가 우리의 일상을 완전히 바꿀 거예요! |
|
|
엔비디아는 AI 발전의 다음 단계를 '에이전틱 AI'와 '물리적 AI'로 소개했어요. AI가 사람처럼 자율적으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단계까지 진입한다는 의미인데, 앞으로 로봇이나 자율주행 기술에서 우리가 상상하던 미래가 점점 현실로 다가오고 있어요.
특히, 데이터 처리 능력이 지금보다 수백 배 뛰어나면서 AI가 일상생활과 비즈니스 환경을 완전히 바꿀 수 있다고 하니 정말 기대되지 않나요? |
|
|
오늘의 뉴스레터는 여기까지 구독자님, 항상 건강하시고요. 우리 다음주에도 건강히 또 만나요!
|
|
|
|